오디오필 음향연구소 (AudioFeel) ~ 인류를 즐겁게… ~

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종래 증폭기 기술 본문

회로기술

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종래 증폭기 기술

오디좋아 2016. 9. 9. 08:48

( Class-D 또는 Class-T 는 제외)


1. 현존하는 오피앰프의 거의 대분분이 차동증폭기가 포함된 부궤환증폭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
2. 이 부궤환증폭기의 입렵단은 대다수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를 적용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. 

   그래서 고성능 오피앰프는 FET(J-FET 또는 MOS-FET)를 사용하여 신호의 손실을 줄이고 있습니다.


3. 이 부궤환증폭기의 출력단은 Class-AB 푸시풀(Push-Pull) 구성되어 있는 것이 고성능을 발휘합니다.


4. 이 부궤환증폭기의 출력단의 과부하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지만 스펙에 표시된 최대출력 이하에서도 출력신호에 왜곡이 발생합니다.


5. 이 부궤환증폭기의 내부 증폭단에는 트랜지스터가 사용되고 있으며, 현재까지 알려진 트랜지스터 특유의 특성인 건조하고 자극적이고 풍성하지 못한 특성이 있으며, 사운드 특성에서 일장일단을 벋어날 수 없습니다. 


6. 이 부궤환증폭기는 동작안정을 위해서 신호가 흐르는 경로에 콘덴서를 사용하고 있어서, 신호의 손실과 변형을 유발하고 있습니다.


7. 이 부궤환증폭기의 내부에 다수개의 기준전원회로는 전원전압의 변동 또는 신호 변화에 흔들릴 수 있는 구조입니다.


8. 이 부궤환증폭기는 최대 게인이 매우 높게 설계되어 있어서, 잡음의 원인이 되고, 낮은 게인으로 사용할 경우 섬세한 신호가 억압되는 현상이 있습니다.


9. 음향기기 완제품에서, 요 근래 DAC의 액티브필터 회로에는 커런트모드 로우패스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, 임피던스가 매우 낮으며, 구동능력이 좋아야 원하는 성능이 나옵니다. (Current-mode Lowpass-filter; ES9018 등)



Comments